고용보험 가입이력조회 알아보겠습니다. 고용보험 가입이력조회는 다양한 곳에 필요합니다. 대표적으로 실업급여 신청할 때, 대출받을 때, 이직할 때 꼭 필요하죠. 이 글에서는 PC, 전화, 모바일로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하는 방법 알아보겠습니다.
고용보험 가입이력조회
1.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에서 고용보험 조회하기 (PC)
1)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https://total.kcomwel.or.kr)에 접속해서 왼쪽 하단의 '고용·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를 클릭합니다.
2) 온라인으로 각종 증명서를 발급받기 위해서는 본인인증을 해야 하므로 공동 인증서나 다른 간편 인증 방법으로 로그인해야 합니다. 이때 꼭 '개인'을 선택해 주세요.
3) 로그인하면 이런 화면이 보이는데, '고용·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를 클릭해 주세요.
4) 이제 고용보험, 산재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고용보험을 조회할 것이므로 보험 구분에서 '고용'을 선택합니다. 조회 구분에서도 상용과 일용을 선택해 주세요.
5) 본인의 고용보험 가입이력조회 화면입니다. 개인정보, 최근 자격 현황, 자격관리 상세 이력까지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자격관리 상세 이력에는 취득일과 상실일을 알 수 있어서 총 가입기간을 계산해볼 수 있습니다.
6) 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를 출력하려면 화면을 아래로 내려주세요. 그동안 근무했던 회사별로 출력할 것인지, 모두 출력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7) '증명원 출력' 버튼을 클릭해 주세요.
8) 상단의 '인쇄' 그림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특히 취직, 이직하는 회사에서 고용보험 가입증명서 전체 이력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를 출력해가면 됩니다.
2. 고용보험 가입 여부 모바일로 알아보기
정부 24 어플을 다운로드하면 고용보험 가입이력조회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모바일은 보안 때문에 출력은 안 되므로 참고 바랍니다.
3.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전화로 알아보기
근로복지공단(1588-0075)에 전화해서 조회할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 가입이력 내역서를 출력하기 원한다면 팩스로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방문할 수 있다면 신분증을 가지고 해당 지역의 근로복지공단으로 가셔서 발급받으시면 됩니다.
이상으로 고용보험 가입이력조회 알아보았습니다. 본인에게 맞는 편한 방법으로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해보시기 바랍니다.
사람들이 많이 조회한 글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스마스 대체공휴일 적용될까? 2022년은? (0) | 2021.11.22 |
---|---|
맥도날드 디카페인 라떼 먹어본 후기 및 카페인 함량 (1) | 2021.11.22 |
인천시 출산지원금 구 지자체별 출산장려금 정리 (0) | 2021.11.18 |
창원시 출산지원금 및 결혼 드림론 시행하는지 정리 (0) | 2021.11.18 |
2022년 월급 실수령액 주휴수당 최저임금 총정리 (0) | 2021.11.17 |